임소영
2021-02-17
기후변화가 초래하는 경제적 손실과 금융 영향에 관한 실증이 축적되고 논의가 활발해지면서 기후변화는 그린스완으로 분류되었다. 그린스완은 미래에 확실히 발생하는 반면, 발생 시기와 영향은 예상할 수 없고, 복잡성이 매우 높은 ‘불확실한 위험’을 가리키는 용어이다. 코로나 19 사태 이후, 팬데믹의 그린스완 속성이 증명되었다. 팬데믹..
송단비, 조재한, 김한흰, 김인철
2021-02-05
○ 본 연구는 국내 제조업의 한계기업에 관한 다양한 실증 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최근 국내 한계기업 증가 원인 분석과 시사점 도출을 목적 ○ 특히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한계기업 상태로 남아있는 만성적 한계기업에 초점을 두어 선행연구와 차별화 ○ 국내 제조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산업별로 상이하며, 산업별 만성적 한계기업..
민혁기, 문종철, 강지현, 안유나
2021-02-03
○ 본 연구는 글로벌 통상환경의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의 유턴법과 성과분석을 중심으로 주요국의 유턴 정책과 사례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유턴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함. ○ 최근 지속되고 있는 미-중 갈등은 탈중국 수요의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금융위기 이후 확대된 보호무역주의 역시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며, ..
김동수, 박재곤, 사공 목, 한정민, 조은교, 박가영, 박소희
○ 한ㆍ중 수교 이후 약 28년여 동안 한ㆍ중 교역 규모의 급신장은 물론 대중국 직접투자의 규모도 빠르게 증가했지만, 중국진출기업들의 경영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중장기적 측면에서 “중국진출기업 경영환경 실태조사”를 연례화하여 기초통계를 확보할 필요○ 매년 중국진출기업을 대상으로 경영환..
산업연구원, 대한상공회의소 북경사무소
2021-01-29
□ 2020년 4분기 현황 ○ 전체기업 매출(93)은 100 여전히 하회, 3분기 만에 하락 전환- 현지 판매(109)가 2018년 2분기 이후 처음으로 100을 상회하고, 투자(103)는 전분기에 이어 100 상회 유지, 영업 환경(80)은 3분기 만에 하락 □ 2021년 1분기 전망 ○ 매출 전망치(96)는 4분기 만에 100 하회, 전분기 대..
동향ㆍ통계분석본부
□ 2020년 4분기 매출 현황 ○ 국내 다수 지역들이 100을 여전히 밑돌지만, 강원과 울산, 광주, 대전, 충남 등지에서 전분기와 달리 100을 웃돌고, 전분기 대비 기준으로는 국내 전 지역들이 동반 상승세를 시현 □ 2021년 1분기 매출 전망 ○ 대전지역이 유일하게 100을 웃도는 가운데 강원지역이 다시 100 밑..
□ 2020년 4분기 현황 ○ 제조업 매출(96)은 100 하회 유지, 2분기 연속 두 자릿수 상승- 내수(96)가 전분기에 이어 두 자릿수 상승하고, 수출(94)도 소폭이나마 추가 상승, 투자(100)와 고용(98) 역시 전분기에 이어 소폭 상승 □ 2021년 1분기 전망 ○ 매출 전망치(94)는 통계 개편 이후 최고치, 2분기 연속..
박문수, 한창용, 박진
2021-01-19
○ 본 연구는 기업체 간 임금 격차의 양상과 원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주된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음.- 특히, 기존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 수준의 미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 대상 업종과 기업 규모를 보다 세분화하여 임금 격차의 원인을 분석함. ○ 주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음.- 첫째, 기업의 다양한 특성..
동향ㆍ통계분석본부,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
2020-12-30
□ 현 경기 판단: 코로나19 영향의 완화 속에 예상보다 빠른 반등세 ○ 국내 실물경기는 올해 2분기까지 코로나19 확산의 여파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한 이후에 코로나 사태의 진정과 경제활동 재개의 영향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반등□ 세계경제: 플러스 성장률 회복 전망, 불확실성은 여전○ 코로나19 백신의 개발과 보급 개시로 2020년에 비..
박훈
2020-12-23
○ 산업용 섬유는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하고 기술혁신에 의한 기능성과 성능이 향상되면서 금속, 세라믹, 플라스틱, 가죽 등을 대체하며 신수요가 빠르게 창출 - 세계 산업용 섬유 시장 규모는 2017년 5,471만 톤에서 2025년에 7,819만 톤으로 연평균 4.6% 증가할 전망인데, 이는 섬유 전체 수요 증가율(3.0%)보다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