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|
|||
저자 | 최민철, 송단비, 조재한 | 발행일 | 제 105 호 (2021.04.02) |
---|---|---|---|
원문 | ![]() |
○ 새로운 성장 모멘텀으로서 AI에 대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의 AI 도입은 소수에 그침.
○ AI를 이미 도입한 기업은 관련 기술투자·지출을 확대하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
- 산업연구원의 실태조사에 따르면, AI 도입 기업은 AI의 다양한 기능(자동화 운영, 전망 및 예측분석 등)과 여러 분야(제품·서비스 개발, 판매·물류관리 등)에 활용
○ AI 도입·활용의 애로사항은 인력·자금·기술 확보와 기업 내·외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복합적으로 존재
① 기술 도입과 계획 단계에서 석사 이상 전문인력(특히 소프트웨어·모델 개발 분야) 확보의 어려움, 자금 부족, 내부 장비 인프라 부족을 주된 문제로 인식
② 기업 내부환경에서는 조직역량 부족 및 투자 대비 낮은 수익이 주요 애로사항
③ 외부환경에서는 시장의 불확실성과 개인정보 관련 법적 규제가 주된 문제
○ 기업의 AI 도입과 활용 과정에 상존하는 복합적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 수단 필요
① AI 전문인력 부족 해결을 위해서는 석사 이상 전문인력 양성이 핵심이며, 특히 소프트웨어·모델 개발 분야의 인재 육성 정책 보완·확대 긴요
② 기업의 내부환경 개선을 위해 AI 도입·활용에 필요한 자금 부담 완화와 연구개발 및 활용사업에 대한 지원 확대 필요
③ AI 투자 유인 제고, 인프라 확충, 개인정보 관련 규제 개혁 등 기업의 외부환경과 제도적 기반 개선 필요
보고서명 | 저자 | 발행일 | 조회수 | 원문 |
---|---|---|---|---|
미시자료를 이용한 기업 생산성 및 임금 격차 간 관계.. | 박문수, 한창용,.. | 2021.01.19 | 15612 | ![]() |
일본, 전기자동차용 전고체배터리 실용화에 박차 | 사공 목 | 2020.12.24 | 5019 | ![]() |
혁신성장을 위한 기술금융의 역할 - 선진국 사례와 시.. | 김상훈, 김계환 | 2020.12.10 | 22817 | ![]() |
한국의 기업생태계 연구(Ⅱ) | 박문수, 한창용,.. | 2020.12.09 | 5488 | ![]() |
포스트 코로나 시대, 트렌드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 전.. | 정진수 | 2020.09.28 | 10527 | ![]() |
보고서명 | 저자 | 발행일 | 조회수 | 원문 |
---|---|---|---|---|
기업의 AI 도입 및 활용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| 최민철, 송단비,.. | 2021.04.02 | 3387 | ![]() |
규제도입의 경제적 영향과 산업정책적 시사점 | 송단비, 조재한,.. | 2020.12.16 | 685 | ![]() |
코로나19 이후 경제회복을 위한 정책과제 - 2009년 세.. | 조재한, 송단비,.. | 2020.05.25 | 64827 | ![]() |
코로나19 대응을 위한 OECD 산업부문 논의 동향 - 제1.. | 김한흰, 조재한 | 2020.05.21 | 18155 | ![]() |
저성과기업(Laggard Firms) 결정요인 분석 | 송단비 | 2020.05.14 | 20122 | ![]() |